전임교수
전임교수
 교수소개 전임교수
김일환 조교수
Kim, Il-hwan
MAJOR
사회학
TEL
02-970-6286
E-MAIL
humblove@seoultech.ac.kr
LAB
어의관 520호
RESEARCH AREAS
학력
2022.8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대학원 박사졸업
(학위논문: 「한국 사립대학체제의 형성과 재단법인의 정치」)
주요 경력
2022.09 ~ 2023.07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동북아시아센터 객원연구원
2023.08 ~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양대학 인문사회교양학부, 조교수
저널 논문
김일환, 2016. 「한국 대학구조조정의 형태 변화에 대한 연구 : 2003-2012」, 『경제와 사회』, 110, 201-238쪽. (The Transformations of Korean University Restructuring Policy : 2003-2012)

김일환 ․ 정준영 2017. 「냉전의 사회과학과 ‘실험장’으로서 한국전쟁 : 미공군 심리전 프로젝트의 미국인 사회과학자들」, 『역사비평』 118, 280-317쪽. (How ‘Cold War' Social Science Produced in ‘Hot War' : American Social Scientists at Psychological Warfare of USAF, and Korean War as Their ‘Laboratory’)

김일환, 2018. 「‘부재지주’, ‘영리기업’에서 ‘기생적 존재’로: 1950년대 문교재단의 경제적 실천과 한국 사립대학」, 『사회와 역사』 119, 75-131쪽. (From ‘Absentee Landlord', ‘Entrepreneur' to ‘Parasitic' Organization: Economic Transformation of Private University-Foundation during 1950s in Korea)

김일환, 2019. 「복지는 어떻게 ‘사업’이 되었는가: 한국 사회복지법인의 역사로 본 형제복지원」, 『민주주의와 인권』 19(1), 39-87쪽. (How did social welfare become ‘business’?: ‘Hyeongje-welfare Institution’ and trajectory of social welfare foundation in Korea)

김일환, 2020. 「사립대학으로 간 민주화 운동: 4․19-5․16 시기 ‘학원분규’와 사립대학 법인 문제의 전개」, 『기억과 전망』 43, 12-67쪽. (The Democratization Movement at Private Universities: The Problems of Private University Foundations around the period of the April 19 Revolution and the May 16 Coup)

김일환, 2021. 「지역에서의 ‘부랑인’ 수용과 민간 사회복지: 1960-70년대 부산의 사례를 중심으로」, 『사회와 역사』 129, 61-105쪽. (Managing Poverty: Vagrant Institutionalization and Private Welfare in Busan, South Korea (1960’s-70’s))

김일환, 2021. 「1920-30년대 보성전문학교의 운영과 공공성 문제」, 『역사문제연구』, 25(1), 237-279쪽. (Boseong College and Colonial Publicness during the 1920’s~30’s)

김일환, 2022. 「미군 포티지 영상으로 본 한국전쟁 포로교환과 그 이면」, 『역사문제연구』 26(1), 221-257쪽.(Korean War POW Exchange Operations in U.S. military Footage Films)

Jae-hyung Kim, Kwi-byung Kwak, Il-hwan Kim, Hae-nam Park, Jun-chol So, Sang-jic Lee, Jong-sook Choi and Ji-hyun Choo, 2023. “‘Big Brother’ at Brothers Home: Exclusion and Exploitation of Social Outcasts in South Korea”, The Asia-Pacific Journal 21(6), Japan Focus.

김일환, 2023. 「‘시설화된 돌봄’과 그 이면: 1960-70년대 ‘서울시립아동보호소’의 운영과 변화」, 『기억과 전망』 47, 35-81쪽.(The other side of ‘institutionalized care’: The case of ‘Seoul Municipal Child-Protection Center’)
◾ 일본 '재단법인형 사립대학'의 기원과 변화, 사회와역사(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), No.141 pp.7~53, 2024김일환
저역서
김일환 ․ 정준영, 2017. 「한국전쟁의 ‘현장’은 어떻게 냉전 사회과학의 지식으로 전환되는가?: HRRI 심리전 프로젝트와 냉전적 학지의 생산구조」, 백원담 ․ 강성현 편, 2017. 『열전 속 냉전, 냉전 속 열전 : 냉전 아시아의 사상심리전』, 진인진.

김일환, 2021. 「‘돈벌이’가 된 복지: 형제복지원 재단의 역사」,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형제복지원연구팀 편, 2021. 『절멸과 갱생 사이: 형제복지원의 사회학』, 서울대학교출판부.
◾ 정준영, 식민지의 사립전문학교, 한국대학의 또 하나의 기원, 저서, 979-11-5905-814-1-93910, 소명출판, 2023김일환
연구프로젝트
주윤정 ․ 곽귀병 ․ 김은지 ․ 김일환 ․ 김재형 ․ 류연미, 2017. 『1980년대 부랑인․장애인 관리체계와 형제복지원 사건 관련자Ⅱ』, 2017년도 국사편찬위원회 구술자료수집사업 보고서.

김일환, 2020. 「부랑인 단속 및 수용」, 유진 ․ 박경규 ․ 김아람 ․ 김재형 ․ 김일환, 2020. 『과거사 청산을 위한 국가폭력 연구(Ⅱ) - 1970년대 보안처분제도의 형성과 부랑인 단속·수용을 중심으로』, (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20-B-13)

한국방송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, 2022. 「집단시설 인권침해 실태조사 연구용역 사업 - 수도권(서울·경기·인천) 및 강원권」, 진실·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연구용역 보고서 (공저)

Quick Menu

  • 학생포탈
  • 도서관
  • 입학안내
  • e-class(강의자료)
[01811] 서울 노원구 공릉로 23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양대학
TEL : 02-970-6251~2 FAX : 02-977-6220
Copyright (c)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. All Rights Reserved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