◾ 동아시아 고대철학에서 숙명의 재해석-『주역본의』,『논형』, 재이 관념을 중심으로-, 철학∙사상∙문화, No.46 pp.111~136, 2024고은강
◾ 극기와 자학 : 선진 유가를 중심으로, 人文學硏究, vol.41 pp.115~131, 2024고은강
◾ 일본무용의 범주화와 체계의 폐쇄성에 관한 소고, 日本學(일본학), vol.62 pp.67~85, 2024고은강
◾ 선진철학에서 군주론에 대한 소고, 동방학, No.48 pp.59~84, 2023고은강
◾ 『묵자』에서 정치적 의사소통에 나타난 불평등 연구, 분쟁해결연구, vol.20 No.2 pp.37~66, 2022고은강
◾ 유가철학에서 과묵함은 미덕인가?, 인문연구, No.97 pp.93~119, 2021고은강
◾ 상대적 박탈감에 대한 철학적 접근 :루소, 순자를 중심으로, 人文學硏究, vol.35 pp.145~171, 2021고은강
◾ 선진철학에서 의사소통에 관한 일고찰, 동방학, vol.43, 2020고은강
◾ 전통의 다양성에 대한 소고(小考) - 일본 도쿄 공연예술계의 혼종성을 중심으로, 人文學硏究, vol.32 pp.263~286, 2019고은강
◾ 가부키 전승에서 가족주의와 사회적 신뢰, 동아시아문화연구, No.78 pp.159~182, 2019고은강
◾ 『列子』에서 꿈과 환상에 관한 소고, 동방학, No.36 pp.95~119, 2017고은강
◾ 소요유(逍遙遊)의 자유에 대한 소고 -『장자』「소요유」를 중심으로-, 인문논총, vol.41 pp.151~172, 2016고은강
◾ 일본 전통공연예술의 상호참조에 대하여, 일본학, vol.41 pp.293~313, 2015고은강
◾ 전통의 계승과 자유에 관한 소고, 아세아연구, vol.160 pp.172~204, 2015고은강
◾ 한비자에서 자유의 의미에 관한 일고찰, 인문연구, No.72 pp.385~414, 2014고은강
◾ 순자(荀子)에서 수행성과 禮에 관한 일고찰, 동방학, No.30 pp.229~258, 2014고은강
◾ 禮와 비지배의 자유에 관한 일고찰 -『禮記』, 『儀禮』를 중심으로 -, 철학논집, vol.36 pp.91~116, 2014고은강
◾ 회남자(淮南子)에서 禮에 관한 一考察, 동아시아문화연구, No.55 pp.321~347, 2013고은강
◾ 양생(養生)의 제도적 장치로서 예(禮)에 대한 일고찰(一考察)- 여씨춘추(呂氏春秋)를 중심으로 -, 인문논총, vol.32 pp.5~30, 2013고은강
◾ 韓國 道敎의 초국가적 성격에 관한 一考察 - 硏究史를 중심으로 -, 인문연구, No.68 pp.207~234, 2013고은강
◾ 『순자(荀子)』에서 예(禮)와 평등, 아태연구, vol.19 No.3 pp.113~137, 2012고은강
◾ 權에 관한 一考察-先秦 哲學을 중심으로-, 동아시아문화연구, No.52 pp.301~326, 2012고은강
◾ 아이히만 구하기 아감벤의 ‘말없는 저항의 형식’에 대한 일고찰, 인문연구, No.65 pp.289~310, 2012고은강
◾ 선진(先秦) 유학에서 ‘윤리적 존재(ethical being)로서 개인’에 관한 일고찰, 인문논총, vol.28 pp.35~56, 2011고은강
◾ ‘위험사회’에서 ‘자기계발’의 윤리학에 관한 小考, 정신문화연구, vol.34 No.4 pp.99~119, 2011고은강
◾ 선진(先秦) 유가철학에서 위험사회론: 『맹자(孟子)』 ‘무항산(無恒産)’을 중심으로, 철학탐구, vol.30 pp.40~70, 2011고은강
◾ 전통의 마케팅 : 일본 가부키에서 공적·상업적 측면의 공존에 관한 연구, 아세아연구, vol.54 No.2 pp.184~208, 2011고은강
◾ Transnational Construction of Daoist Music: Creating Contexts, Constructing Identity, 동아시아문화연구, No.49 pp.257~290, 2011고은강
◾ 중국철학에서 개인주의에 관한 일고찰:先秦 철학에 나타난 정치공동체와 개인, 태동고전연구, vol.26 pp.121~146, 2010고은강
◾ 도교의 종교적 실천으로서 “돌봄(care)”과사상적 배경- 홍콩 도교를 중심으로, 아태연구, vol.17 No.3 pp.61~75, 2010고은강
◾ 일본 도교의 실천 연구, 동아시아문화연구, No.48 pp.245~270, 2010고은강
◾ 언필신에 관한 소고, 산학협력단, 2019.09.~2020.06.고은강
◾ 가족주의와 사회적 신뢰: 비교문화적 접근, 한국연구재단, 2018.07.~2021.12.고은강
◾ 관용, 불관용, 차이의 정치에 대하여, 산학협력단, 2018.07.~2019.06.고은강
◾ 전통의 다양성에 관한 소고, 산학협력단, 2018.05.~2019.02.고은강
◾ 예(禮)와 관용에 대한 일고찰: 『순자』를 중심으로, 산학협력단, 2017.11.~2018.02.고은강
◾ 일본 전통공연예술의 상호참조에 대하여, 산학협력단, 2015.08.~2016.02.고은강
◾ 도교의 통합주의에 관한 일고찰, 산학협력단, 2014.10.~2016.02.고은강
◾ 전통의 계승과 자유에 관한 소고, 산학협력단, 2014.05.~2016.02.고은강
◾ 한비자에서 자유에 관한 일고찰, 산학협력단, 2014.04.~2015.01.고은강
◾ 통합사고력고사를 위한 문제개발 연구, 산학협력단, 2013.04.~2013.05.고은강
◾ 養生의 제도적 장치로서 禮에 대한 一考察, 산학협력단, 2013.03.~2014.02.고은강
◾ 荀子에서 수행성과 禮에 관한 일고찰, 산학협력단, 2013.03.~2014.02.고은강
◾ 權에 관한 一考察, 산학협력단, 2012.05.~2013.02.고은강
◾ 『순자』에서 예와 평등, 산학협력단, 2012.05.~2013.02.고은강
◾ 동아시아에서 도교의 종교적 실천과 그 의미: 도교의 초국가성을 중심으로, 한국연구재단, 2010.11.~2011.10.고은강